Infinitude of Primes

March 24, 2022

서문

소수는 그 양의 약수가 1과 자기 자신 이외에 존재하지 않고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. 예컨대, 7의 양의 약수는 1과 7이고 그 밖에 양의 약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7은 소수이다. 한편, 3은 57 = 3·19 의 양의 약수이다. 57은 소수가 아니다. 1보다 크고 소수가 아닌 양의 정수를 합성수라고 부른다. 57은 합성수이다.

소수는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. 이 사실을 소수의 무한성infinitude of primes이라고 부른다. 이 글은 소수의 무한성의 여러가지 증명에 대해 소개한다.

유클리드Euclid의 증명

결론을 부정하여 소수의 무한성이 거짓이라고 가정하자. Π\Pi를 모든 소수로 이루어진 Z\mathbb{Z}의 부분집합이라고 하자. 모든 소수의 곱에 1을 더한 수

P=1+pΠpP = 1 + \prod_{p \in \Pi} p

를 생각하자. Π\Pi는 유한집합이므로 PP는 잘 정의된다. 모든 pΠp \in \Pi에 대해

ppΠp<1+pΠp=Pp \le \prod_{p \in \Pi} p < 1 + \prod_{p \in \Pi} p = P

이므로, PPΠ\Pi에 포함되지 않는다. qqPP의 소수인 양의 약수라고 하자. PP는 모든 Π\Pi의 원소 pp에 대해, PPpp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이 남고, 1은 pp의 배수가 아니므로 ppPP의 약수가 아니다. 따라서 q∉Πq \not\in \Pi인데, 이는 보조정리에 의해 qq가 소수가 되어야 한다는 점과 모순이다. 따라서 소수의 무한성은 참이다.

에르되시Erdős의 증명

수열 {pn}\{p_n\}에는 모든 소수가 정확히 한 번씩 등장하고, 임의의 i<ji < j에 대해 pi<pjp_i < p_j를 만족한다고 하자. 만약 소수의 무한성이 거짓이어서 소수가 정확히 NZ0N \in \mathbb{Z}_{\ge 0}개 존재할 경우, 모든 iZ1i \in \mathbb{Z}_{\ge 1}에 대해 pN+i=+p_{N + i} = +\infty로 정의하자. 1+=0\frac{1}{+\infty} = 0으로 정의하자.

모든 소수 역수의 합 무한합 n=11pn\displaystyle\sum_{n = 1}^\infty \frac{1}{p_n}는 발산한다.

증명 결론을 부정하여 n=11pn\displaystyle\sum_{n = 1}^\infty \frac{1}{p_n}이 실수 LL에 수렴한다고 가정하자. n=k+11pn<12\displaystyle\sum_{n = k + 1}^\infty \frac{1}{p_n} < \frac{1}{2}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정수 kk를 선택하자. p1=2p_1 = 2이므로 k1k \ge 1, 특히 k0k \neq 0임을 관찰하자. 또한 조건에서 kk의 최소성에 의해 kk번째 소수 pkp_k는 존재하고, 특히 pk+p_k \neq +\infty임을 관찰하자. 양의 정수 NN에 대해, NN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중 그 소인수분해 e:ΠZ0e: \Pi \to \mathbb{Z}_{\ge 0}e=ek+2e,e = e_k + 2e', i[k].ek(pi){0,1},\forall i \in [k].e_k(p_i) \in \{0, 1\}, pΠ.e(p)Z0\forall p \in \Pi.e'(p) \in \mathbb{Z}_{\ge 0} 와 같이 나타나는 것들의 개수와 관련된 부등식을 세우고 이에서 모순을 이끌어낼 것이다. 소인수분해가 위 조건과 같이 나타나는 [N][N]의 원소를 좋은 수라고 하자. [N][N]의 원소 중 좋은 수가 아닌 것을 나쁜 수라고 하자.

  • [N][N]의 원소 중 좋은 수의 개수는 많아야 2kN2^k \sqrt{N}이다. eke_k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2k2^k이다. 소인수분해로 ek,ee_k, e'를 갖는 수를 각각 r,sr, s라고 할 때, s2NrNs^2 \le \frac{N}{r} \le N을 만족하므로 각 eke_k에 대해 좋은 수는 많아야 N\sqrt{N}개 존재한다.
  • [N][N]의 원소 중 나쁜 수의 개수는 많아야 12N\frac{1}{2} N이다. m>km > k에 대해, [N][N]의 원소 중 pmp_m의 배수는 Npm\left\lfloor \frac{N}{p_m} \right\rfloor개 존재한다. 어떤 정수가 나쁜 수라는 것은 어떤 m>km > k에 대해 e(pm)e(p_m)이 홀수인 것과 동치이고, 이때 그 수는 pmp_m의 배수가 된다. 따라서 나쁜 수들의 부분집합은 m>km > k에 대해 pmp_m의 배수의 부분집합의 합집합에 속하게 된다. 합집합 상한을 사용하면 나쁜 수의 개수에 대한 상한

n=k+1Npnn=k+1Npn12N\sum_{n = k + 1}^\infty \left\lfloor \frac{N}{p_n} \right\rfloor \le \sum_{n = k + 1}^\infty \frac{N}{p_n} \le \frac{1}{2} N 을 얻는다.

좋은 수의 부분집합과 나쁜 수의 부분집합의 합집합은 [N][N]이므로, 부등식 N2kN+12NN \le 2^k \sqrt{N} + \frac{1}{2} N 을 얻는다. 이를 정리하면 N4k+1N \le 4^{k + 1}인데, 이는 명백히 어떤 양의 정수에 대해 성립하지 않는 부등식이다. N=4k+1+1N = 4^{k + 1} + 1을 선택하여 위 논증을 반복하면 모순을 얻게 되므로, 무한합 n=11pn\displaystyle \sum_{n = 1}^\infty \frac{1}{p_n}가 수렴한다는 가정은 잘못되었다. 따라서 무한합 n=11pn\displaystyle \sum_{n = 1}^\infty \frac{1}{p_n}은 발산한다.

퍼스턴버그Furstenberg의 증명

위상수학을 사용한 이 증명은 수학자 퍼스턴버그가 학부생 때 떠올렸다고 전해진다.

집합 XX에 대해 XX의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 T\mathcal{T}가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, T\mathcal{T}XX의 위상이라고 한다.

  1. T,XT\emptyset \in \mathcal{T}, X \in \mathcal{T}
  2. 임의의 집합 II에 대해, iI.UiT\forall i \in I.U_i \in \mathcal{T}이면 iIUiT\bigcup_{i \in I} U_i \in \mathcal{T}이다.
  3. 임의의 양의 정수 nn에 대해, i{1,2,,n}.UiT\forall i \in \{1, 2, \cdots, n\}.U_i \in \mathcal{T}이면 i=1nUiT\bigcap_{i = 1}^n U_i \in \mathcal{T}이다.

UTU \in \mathcal{T}XX의 부분집합 UU을 열린집합이라고 한다. XUTX \setminus U \in \mathcal{T}XX의 부분집합 UU를 닫힌집합이라고 한다.

a,bZa, b \in \mathbb{Z}, b0b \neq 0에 대해 Ua,b={a+bn:nZ}U_{a, b} = \{a + bn: n \in \mathbb{Z}\}으로 정의한다. 임의의 첨수 집합 JJaj,bjZa_j, b_j \in \mathbb{Z}, bj0b_j \neq 0에 대해 U=jJUaj,bjU = \bigcup_{j \in J} U_{a_j, b_j}으로 표현가능한 UU를 원소로 갖는 Z\mathbb{Z}의 부분집합들의 집합 T\mathcal{T}을 정의할 수 있다.

T\mathcal{T}가 위상임을 보이자.

  1. J=J = \emptyset일 때 \emptyset는 빈 합집합이므로 T\emptyset \in \mathcal{T}이다. J={}J = \{ * \}, a=0a_{*} = 0, b=1b_{*} = 1일 때 Z=U0,1=jJUaj,bj\mathbb{Z} = U_{0, 1} = \bigcup_{j \in J} U_{a_j, b_j}으로 ZT\mathbb{Z} \in \mathcal{T}이다.
  2. iIi \in I에 대해 Ui=jJiUai,j,bi,jTU_i = \bigcup_{j \in J_i} U_{a_{i, j}, b_{i, j}} \in \mathcal{T}라고 하자. K={(i,j):iI,jJi}K = \{(i, j): i \in I, j \in J_i\}일 때 KK는 집합이고 iIUi=iIjJUai,j,bi,j=(i,j)KUai,j,bi,jT\bigcup_{i \in I} U_i = \bigcup_{i \in I} \bigcup_{j \in J} U_{a_{i, j}, b_{i, j}} = \bigcup_{(i, j) \in K} U_{a_{i, j}, b_{i, j}} \in \mathcal{T}이다.
  3. Uai,biUaj,bjU_{a_i, b_i} \cap U_{a_j, b_j}는 공집합이거나, 어떤 정수 c,dc, d에 대해 Uc,dU_{c, d}와 같다.
    • Uai,biUaj,bjU_{a_i, b_i} \cap U_{a_j, b_j}가 공집합이라면, 그냥 공집합이다.
    • T=Uai,biUaj,bjT = U_{a_i, b_i} \cap U_{a_j, b_j}가 공집합이 아니라면, c=ai+kibi=aj+kjbjc = a_i + k_i b_i = a_j + k_j b_j를 이 집합의 원소라고 하고, d=mibi=mjbjd = m_i b_i = m_j b_jbi,bjb_i, b_j의 최소공배수라고 하자. 이때 T=Uc,dT = U_{c, d}임을 보이자. xTx \in T이면 어떤 정수 ni,njn_i, n_j에 대해 x=ai+nibi=aj+njbjx = a_i + n_i b_i = a_j + n_j b_j이다. xc=(niki)bi=(njkj)bjx - c = (n_i - k_i) b_i = (n_j - k_j) b_j이므로 xcx - cbi,bjb_i, b_j의 배수이고, 따라서 dd의 배수이다. x=c+ydx = c + yd를 만족하는 정수 yy가 존재하므로 xUc,dx \in U_{c, d}이고, 따라서 TUc,dT \subset U_{c, d}이다. c+ndUc,dc + nd \in U_{c, d}이면 c+nd=ai+(ki+nmi)biUai,bic + nd = a_i + (k_i + n m_i) b_i \in U_{a_i, b_i}, c+nd=aj+(kj+nmj)bjUaj,bjc + nd = a_j + (k_j + n m_j) b_j \in U_{a_j, b_j}이므로 c+ndTc + nd \in T이고 Uc,dTU_{c, d} \in T이다.
    두 경우 모두 Vi,j=Uai,biUaj,bjV_{i, j} = U_{a_i, b_i} \cap U_{a_j, b_j}Z\mathbb{Z}의 열린 집합이다. 두 열린 집합 i1I1Uai1,bi1\bigcup_{i_1 \in I_1} U_{a_{i_1}, b_{i_1}}, i2I2Uai2,bi2\bigcup_{i_2 \in I_2} U_{a_{i_2}, b_{i_2}}의 교집합 (i1,i2)I1×I2Vi1,i2\bigcup_{(i_1, i_2) \in I_1 \times I_2} V_{i_1, i_2}는 열린 집합이다.

이 위상에서 부분집합 UU가 열린집합임과 닫힌집합임은 동치이다. 또한,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은 항상 무한집합이다. 소인수분해의 존재에 의해, pΠU0,p=Z{1,1}\bigcup_{p \in \Pi} U_{0, p} = \mathbb{Z} \setminus \{-1, 1\}이다. {1,1}\{-1, 1\}은 유한집합이므로 열린집합이 아니고, 특히 Z{1,1}\mathbb{Z} \setminus \{-1, 1\}은 닫힌집합이 아니다. Π\Pi가 유한하다고 가정하면 좌변은 닫힌집합의 유한합집합이므로 닫힌집합이고, 이때 등식은 닫힌집합과 닫히지 않은 집합이 같음을 의미하므로 (즉 어떤 집합 UZU \subset \mathbb{Z}에 대해 ZUT\mathbb{Z} \setminus U \in \mathcal{T}ZU∉T\mathbb{Z} \setminus U \not\in \mathcal{T}를 동시에 함의하므로) 모순이다.

FLT와 Schur의 정리를 이용한 증명

놀랍게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 Schur의 정리가 참이면 소수는 무한히 많이 존재한다. 알려져 있는 FLT의 증명에서 소수의 무한성을 가정하는지는 모르겠다.